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금계좌 세제 혜택 확대, 연금저축/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까지 확대!
    금융연구소 2023. 1. 8. 07:53
    728x90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2023년부터 달리지는 금융 관련 정책 포스팅 시리즈! 연금계좌 세제혜택 확대 정책 포스팅입니다!


    연금계좌 세제혜택 확대 정책

    연금계좌 세제 혜택 확대

    2023년부터는 연금계좌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를 200만원 상향합니다! 연금계좌는 재테크의 필수라고 할 수 있는데요. 현재까지는 연금저축 납입액의 400만원까지, IRP 등 퇴직연금 포함 시에는 7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해주었습니다. 이를 연금저축 납입액의 600만원까지, IRP 등 퇴직연금 포함 시에는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해준다는 내용인데요.

    그렇다면 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연금계좌 활용법은 무엇인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이란?

    출처: 기재부 책자/연금 계좌 세제 혜택

    연금저축은 개인이 노후를 위해 자발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자발적이란 말은 곧 개인의 선택에 따라 가입할 수도, 가입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이 부분이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국민연금과 다른 부분입니다.

    연금저축의 종류에는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이 있는데요. 정부는 연금저축을 장려하기 위해서 자발적 가입제도이지만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연 400만원을 한도로 총 급여액 5,500만원 이하(종합소득금액 4천만원 이하)인 경우 지방세를 포함하여 16.5%를 공제해주고 있습니다.(총 급여액과 종합소득금액이 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13.2% 적용)

    그렇다면 내가 내 자산을 불릴 목적으로 연 400만원씩 연금계좌에 납입하는데 납입한 금액의 16.5%의 세제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것입니다. 연 400만원씩 꼬박꼬박 납입한다면 연간 66만원의 세제 혜택을 보게 되는 것인데요. 이제 연 한도가 600만원으로 늘어나게 되면 세제 혜택도 99만원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연금저축의 단점은?

    그렇다면 연금저축은 장점만 있는 것일까요? 저 같은 경우 장점만 있다고 봐도 무관하다고 생각하는데요. 물론 단점이라 불릴 만한 여지는 충분히 있습니다. 그건 바로 55세 이후에 인출이 가능하다는 점! 즉, 그 전까지는 납입만 해야 세액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고요. 중도 인출한다면 그동안 받았던 세액 공제 혜택을 모두 토해내야 하니, 무조건 55세까지 가져갈 각오를 하고 납입을 해야합니다. 그래서 연금저축인 것이고요.

    연금계좌는 어떤 것으로 하는 게 유리할까?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신탁 중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할까요? 노후를 생각하신다면 당연히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해야 합니다. 연금저축은 어차피 55세까지 장기투자해야합니다. 투자 기간이 길어지면 길수록 위험자산에 대한 리스크는 감소하는데요. 따라서 연금저축펀드로 주식이나 펀드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연간 1% 내외 수준의 이자가 붙는데요. 물가 상승률이 5% 이상 계속 되고 있는 현 상황을 볼 때 터무니 없는 수준입니다. 따라서 55세까지 무조건 장기투자할 수밖에 없는 연금저축은 반드시 연금저축펀드로 주식에 투자해야 합니다. 주식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고, 55세까지 최소 10년 이상 불입한다면 마이너스가 날 확률이 희박하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연금저축펀드에 연 400만원씩 꼬박꼬박 넣고 있습니다. 월 33만원 정도이고요. 연금저축펀드 계좌로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을 꾸준히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 지가 몇 년 지나다보니 현재처럼 나스닥 지수가 33% 급락한 장에서도 연금저축 계좌 수익률은 플러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이란?

    이제 연금저축펀드에 늘어난 한도인 연 600만원씩 꼬박꼬박 투자해야하는 이유는 설명드렸고요. 그렇다면 앞서 살펴본 세액공제 한도에서 언급하고 있는 IRP등 퇴직연금은 무엇일까요?

    퇴직연금제도에는 DB형, DC형, IRP 등의 유형이 있는데요. 자세한 퇴직연금은 제 블로그의 다른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고요! 오늘은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혜택을 설명드리는 포스팅이니 퇴직연금 IRP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퇴직연금 IRP 계좌도 개인이 자발적으로 가입할 수 있고요. 연금저축과 마찬가지로 세액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바로 이 세액공제 혜택이 2023년부터 상향된다는 내용인데요. 사실 퇴직연금 상품도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는 있지만 위험 자산 한도가 70%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나머지 30%는 무조건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하는데요. 그래서 위험자산을 100% 투자할 수 있는 연금저축펀드 상품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나머지 300만원에 대해서만 퇴직연금 상품으로 투자하면 됩니다.

    세액공제 혜택과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계좌 활용법 정리

    자, 이제 2023년부터 연금저축 납입액은 연 600만원까지, 퇴직연금 포함 시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은 위험자산 한도가 70%로 정해져 있으므로 연금저축펀드에 투자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장기투자할 수밖에 없고 노후대비를 위한 연금계좌 이기 때문이죠.

    연금계좌 베스트 시나리오

    위 그림과 같이 연금저축펀드에 월 50만원을 납입하고, 여유가 된다면 월 25만원씩 퇴직연금 IRP 계좌를 가입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제가 운용하고 있는 방식이고요. 계좌 내 상품은 미국 S&P 500 지수나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상품을 추천드립니다.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녀석들이죠.

    이렇게 연 900만원씩 납입한다면 세액공제 혜택만 무려 148만원 정도 볼 수 있게 됩니다! 계좌의 수익률과는 별개로 말이죠.


    지금까지 연금계좌 세액공제 확대 소식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연금계좌 세제혜택 확대 소식은 정말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이제 남은 것은 월 75만원의 현금을 매월 연금계좌에 투자하는 일입니다. 쉽지 않지만 열심히 노력해보자고요! 감사합니다.

    2023.01.04 - [금융연구소] - 카드포인트 현금화해서 계좌입금 받기!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

     

    카드포인트 현금화해서 계좌입금 받기!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카드포인트 현금화 방법!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 포스팅입니다! 카드포인트 현금화 카드를 쓰다보면 어느 카드에 얼만큼의 포인트가 쌓이는지 모르는

    edudiaj.tistory.com

    2023.01.03 - [금융연구소] - 자율주행 자동차 단계, 레벨별 자율주행 수준 정리

     

    자율주행 자동차 단계, 레벨별 자율주행 수준 정리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자율주행 자동차 단계! 레벨별 자율주행은 어떤 수준인지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최근 자동차 산업은 큰 변화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edudiaj.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