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FD 계좌 뜻, 특징, 장점, 가입자격, 거래 절차 정리금융연구소 2023. 1. 23. 19:06728x90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CFD 계좌의 뜻, 특징과 장점, 거리고 거래 절차까지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CFD 계좌 CFD란?
CFD는 'Contract For Difference'의 약자입니다. 보통은 CFD 계좌 또는 차액결제거래라고 부르는데요. CFD는 실제로 주식과 같은 투자상품 등을 보유하지는 않지만 해당 상품의 가격변동에 따른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장외파생상품의 하나입니다. 계약 시점으로부터 가격이 변동한 만큼 차액을 정산하게 되는데요. 그런 특징 때문에 차액결제거래라고 불리는 것이죠.
CFD 가입자격
CFD는 전문투자자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문투자자란 누구를 말하는 걸까요. 전문투자자는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높은 이해도 및 투자에 따른 충분한 위험감수능력이 있는 투자자를 의미한다고 하는데요. 애매하죠? 한 번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삼성증권 전문투자자는 CFD 거래가 가능하고요. 선물/옵션 상품에 사전교육 및 기본예탁금 등이 면제가 됩니다. 고난도 금융투자상품에 대해서도 녹취 의무나 투자자 숙려제도 또한 면제입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혜택이 있는데요. 그만큼 책임 또한 엄격합니다.
전문투자자는 금융소비자보호법상 5대 판매 규제가 미적용되고요. 손해배상 입증 책임도 전문투자자에게 있습니다. 2천만원 이하의 소액 분쟁 조정 중 소송 제기도 판매회사가 소송이 가능합니다.
CFD 거래 구조
출처: 삼성증권 CFD의 개념에 대해서 말씀드렸을 때 CFD는 직접 상품을 소유하지 않는다고 말씀드렸죠. 따라서 투자자는 증권사에 장외파생계약을 맺고 비용을 지급하고 운용을 지시합니다. 그리고 증권사는 투자자의 운용 지시대로 기초자산을 실제로 시장에서 매매를 하고요. 투자자가 운용한 상품의 가격변동에 따른 수익 또는 손실을 반영하여 투자자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CFD 특징
출처: 삼성증권 CFD 계좌의 특징을 살펴볼까요. 첫 번째로 레버리지를 최대 2.5배까지 쓸 수 있습니다. 또 공매도도 가능하게 되고요. 양도소득세도 11%를 적용 받습니다.
단, CFD는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는 않기 때문에 의결권과 같은 주주로서의 권한은 행사할 수가 없습니다.
또 CFD 계좌의 거래 위험성을 반드시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CFD 거래는 레버리지 효과에 따라서 손실금액이 투자한 원금을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또 증거금 인상과 같이 CFD와 관련한 제도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고요. CFD 거래 자체가 장외시장에서 이루어지므로 한국거래소의 제도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으니, 전문투자자라고 하더라도 면밀히 관련 정책들을 검토하고 투자해야 하겠습니다.
CFD 거래 절차
CFD는 우선 전문투자자로 등록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전문투자자라면 장외파생거래와 관련된 기본계약서를 체결하게 됩니다. 계약서와 정보제공동의서를 작성하고 나면 이제 CFD 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데요. 국내 CFD 계좌는 1계좌, 해외 CFD 1계좌로 총 2개의 CFD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이제 계좌를 개설했으면 CFD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하면 되고요. 신청한 다음 날부터 바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이제 증권사와 장외파생계약서가 승인되면 증거금을 입금하고 CFD 거래 시작!
지금까지 CFD 계좌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CFD 투자는 전문투자자만 접근이 가능하고 레버리지와 공매도 등 위험성도 그만큼 큰 투자 방법입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죠. 좋은 종목에 장기투자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일 수도 있습니다. CFD 계좌에 투자하실 분이라면 장점과 단점을 확실히 파악하고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1.15 - [금융연구소] -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ETF, PBD(Invesco Global Clean Energy ETF) 알아보기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ETF, PBD(Invesco Global Clean Energy ETF)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친환경 ETF를 소개해드리는 포스팅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바이블로 불리는 ETF! 바로 PBD입니다! PBD란? PBD는 친환경, 신재생에
edudiaj.tistory.com
728x90'금융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통화기금 IMF 뜻, 의미, 목적, 활동, 운영자금 정리 (0) 2023.01.25 중국 양회 뜻, 의미,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정리 (0) 2023.01.24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세액공제, 신청방법 정리 (0) 2023.01.21 태양광 에너지 ETF, RAYS(Global X Solar ETF) 알아보기 (0) 2023.01.16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ETF, PBD(Invesco Global Clean Energy ETF) 알아보기 (0) 202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