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엇 파동 이론 정의, 유래, 주가와의 연관성 정리금융연구소 2022. 12. 5. 19:14728x90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엘리엇 파동 이론의 정의와 유래, 그리고 주가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
엘리엇 파동 이론이란?
주가는 연속적인 8개의 파동이 사이클을 이루면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는 이론입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은 주가 변동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사용되곤 하는데요. 이는 미국의 회계사 출신 주식 분석가인 랠프 넬슨 엘리엇이 1938년 <파동이론>이라는 저서를 통해 발표한 이론입니다. 특이한 점은 그는 회계사 출신의 아마추어 주식 분석가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주식의 등락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이론입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 알아보기
엘리엇은 1930년대 초부터 과거 75년 간의 주가 움직임에 대해서 연간, 월간, 주간, 일간 데이터는 물론이고 30분 단위의 데이터까지 면밀히 분석했는데요. 그 결과 주식시장도 자연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반복적인 법칙이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은 기본적으로 패턴, 비율, 시간이라는 세 가지 요인을 기반에 두고 있는데요. 그중 패턴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이론입니다. 주가의 변동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움직이며 끝없이 순환하면서 시장의 추세를 이어간다는 것이 엘리엇 파동의 골자인데요. 즉, 주가는 상승 5파, 하락 3파의 8개 파동이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패턴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특히 이 이론에서는 피보나치 수열을 근간으로 하여 주가 상승 후 조정의 폭을 분석하여 주가의 향방을 찾고, 주가가 어디까지 오를 수 있는지 목표가격을 예측하는 등 주식시장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환호할 만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하지만 엘리엇 파동 이론의 단점으로는 파동의 시작과 끝이 명확하지 않고, 하나의 파동에 걸리는 기간에 대한 언급은 없다는 점이 꼽히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엘리엇 파동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렇게 파동 이론에 따라 주가의 등락과 목표 주가 등을 정확히 맞출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주가의 흐름은 누구도 맞출 수 없는 것이란 게 학계의 정설이죠.
단, 하나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건 있습니다. 자본주의에서 자본은 증가하고 기업은 자기자본의 증식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점이죠. 그로 인해 주식시장은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이고요. 따라서 좋은 기업에 장기투자한다면 분명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힘든 시장이지만 본질적인 믿음을 가지고 인내하는 전략이 가장 유효한 때입니다. 모두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지식백과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022.12.02 - [금융연구소] - 리먼 브라더스 사태 원인, 영향 정리
리먼 브라더스 사태 원인, 영향 정리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리만 브라더스 사태의 원인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리먼 브라더스 사태란? 리먼 브라더스는 골드만삭스, 모
edudiaj.tistory.com
2022.11.30 - [금융연구소] - 케인즈 학파, 시카고 학파 이론, 경제 정책 정리
케인즈 학파, 시카고 학파 이론, 경제 정책 정리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경제학의 커다란 두 학파! 케인즈 학파와 시카고 학파의 이론 및 경제 정책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케인즈 학파 먼저 케인즈 학파에 대해서 살
edudiaj.tistory.com
728x90'금융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옴시티 관련주, 사우디아라비아 미래형 신도시 네옴시티 프로젝트 총 정리 (0) 2022.12.14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정의, 영향 정리 (0) 2022.12.06 리먼 브라더스 사태 원인, 영향 정리 (0) 2022.12.02 케인즈 학파, 시카고 학파 이론, 경제 정책 정리 (0) 2022.11.30 건폐율 용적률 뜻, 의미 부동산 용어 정리 (0) 202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