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가입요건, 신청, 장단점 정리금융연구소 2023. 2. 20. 19:31728x90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주택연금의 수령액부터 가입요건까지 총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주택연금 주택연금이란?
주택연금은 주택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내 집에 계속 살면서 평생동안 매월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가 보증하는 제도입니다.
주택연금 지급액 결정 요인
출처: 한국주택금융공사 그렇다면 주택연금은 어떤 것을 기준으로 연금 액수가 결정되는 걸까요. 그것은 바로 주택의 가격과 가입자의 연령입니다. 주택가격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인정하는 시세를 적용하는데요. 아파트의 경우에는 한국부동산원 시세, KB 국민은행 시세를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아파트 이외에 인터넷 시세가 없는 주택과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감정기관의 감정평가를 통해 시세가 적용됩니다.
주택가격과 함께 연금 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가입자의 연령인데요. 평생 연금을 수령해야 만큼 나이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연령은 부부 중 나이가 젊은 연소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주택연금 월지급금은 주택가격이 동일하다면 연령이 높을수록 많아지게 되고, 연령이 낮을수록 월 지급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주택연금 수령방식
출처: 한국주택금용공사 우선 일반 주택연금을 알아볼까요. 일반 주택연금은 55세 이상의 노년층이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고 노후생활자금을 평생동안 매월 연금으로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주담대 상환용 주택연금은 주택담보대출 상환용으로 인출한도 범위 안에서 일시적으로 목돈을 찾아 쓰고 나머지만 평생동안 연금으로 수령하는 방식인데요. 이때 인출한도는 연금대출한도의 50~90%입니다.
우대지급방식은 부부기준 2억원 미만의 1주택 소유자이면서 1인 이상이 기초연금 수급권자일 경우에는 일반 주택연금 대비 최대 21%까지 더 많이 수령할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상품의 종류
주택연금은 평생 매월 연금으로 수령하는 종신방식과 일정기간 동안 받게 되는 확정기간 혼합방식이 있습니다. 또 연금을 받는 중에 의료비 등이 필요할 경우에는 목돈을 수시로 찾아서 쓰는 개별인출제도도 있는데요.
출처: 한국주택금융공사 종신방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종신형은 정액형, 초기증액형, 정기증가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정액형은 매월 동일한 금액을 수령하는 방식이고요. 초기증액형은 가입 초기에 일정 기간은 정액형보다 많이 받고, 그 이후에는 정액형보다 조금 받는 형태입니다. 기간은 3년, 5년, 7년, 10년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정기증가형은 초기에는 정액형보다 적게 받지만 3년마다 4.5%씩 일정하게 증액된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또 확정기간 방식도 있는데요. 확정기간 방식은 가입연령에 따라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중 선택한 일정 기간동안 매월 동일한 금액을 수령하고 평생 거주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대출한도의 5%를 의무설정 인출한도로 설정합니다.
주택연금지킴이 통장
출처: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지킴이 통장이란 제도도 있는데요. 이 제도는 주택연금 월지급금 중에서 최저생계비에 해당하는 금액까지만 입금이 가능하고 입금된 액수에 대한 압류가 금지되는 제도입니다. 최저생계비 기준 금액은 현재 185만원입니다. 따라서 주택연금지킴이 통장은 보다 안정적으로 주택연금을 수령할 수 있게 하는 주택연금 전용계좌입니다.
또 주택연금을 이용할 때 초기비용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주택연금 가입 시에 초기보증료, 연 보증료, 대출이자 등이 있고, 감장평가 수수료, 등록면허세 등이 있습니다. 지방교육세는 등록면허세에 포함되어 납부합니다.
주택연금의 장점
그렇다면 주택연금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가장 본질적인 혜택은 바로 평생동안 안정적인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겠죠! 또 연금은 받으면서 가입자와 배우자 모두 거주까지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부부 중 한 명이 일찍 사망핟라도 연금의 감액이 없이 100% 동일한 연금이 지급됩니다.
출처: 한국주택금융공사 또 주택연금은 국가가 보증한 제도로서 연금 지급 중단의 위험도 없고요. 합리적인 상속이 가능하고 세제 감면 혜택도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그렇다면 주택연금을 신청하게 되면 도대체 얼마의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걸까요? 종신지급방식 정액형을 선택했을 때 2022년 2월 1일 기준으로 얼마가 지급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한국주택금융공사 만약 주택 가격이 3억원이고 55세에 주택연금을 신청했다면 매월 받을 수 이는 연금액은 48만원 정도입니다. 나이는 부부 중 연소자 기준으로 적용하고요. 주택 가격이 6억원 짜리라면 55세 신청 시 96만원 정도가 지급되네요.
주택가격과 나이가 조금 많을 경우도 살펴볼까요. 10억원의 주택을 75세에 주택연금으로 신청했다면 297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내 집에 살면서 연금까지 받을 수 있으니 적절히 활용하면 안정적인 노후를 보내기에 정말 좋은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택연금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주택연금 제도를 적절히 활용해서 즐거운 노후를 준비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겠네요. 주택연금의 치명적인 단점으로는 담보로 제공한 주택의 가격이 오를 경우 연금에는 반영이 되지 않는다는 점인데요. 반대로 집값이 떨어져도 연금액이 줄어들지도 않습니다. 모든 제도에는 장단점이 있는 만큼 신중히 판단하셔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1.28 - [금융연구소] - 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 구분, 장점, 단점, 이자 정리
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 구분, 장점, 단점, 이자 정리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원금균등상환과 원리금균등상환에 대해서 알아보고 각 상환 방법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이자는 어떻게 달라지는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금균등분할
edudiaj.tistory.com
2023.01.18 - [건강연구소] - 위축성 위염 증상, 치료, 원인, 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위축성 위염 증상, 치료, 원인, 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위축성 위염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그 치료법과 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축성 위염이란? 위축성 위염은 위의 표면
edudiaj.tistory.com
728x90'금융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chatgpt 특징, 논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정리 (0) 2023.02.23 지급명령신청 비용, 방법, 절차, 셀프 지급명령신청 A부터 Z까지 정리 (0) 2023.02.21 톱니 효과 뜻, 래칫 효과 의미, 소득수준에 따른 소비의 비밀 (0) 2023.02.19 국민연금 감액 기준, 소득활동에 따른 노령연금액 정리 (0) 2023.02.16 마스다르 시티, UAE 아부다비 스마트 에너지 시티 분석 (0) 2023.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