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VB 파산 원인, 영향, 전망 알아보기
    금융연구소 2023. 3. 17. 19:57
    728x90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SVB의 파산 원인과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VB 파산 분석

    SVB란?

    SVB는 Silicon Valley Bank의 약자입니다. 국내 투자자들은 대부분 이번 파산을 통해서 아마 처음 들으셨을 거 같은데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굉장히 우량한 은행이었는데요. 이런 은행이 불과 48시간 만에 파산 처리가 되어버릴 만큼 금융시장에는 충격적인 사건이었습니다.

    SVB는 1982년에 설립하여 40년의 역사를 가진 미국의 은행입니다. 미국 벤처의 역사와 함께하며 급성장했꼬, 금융지주사로 성장해서 다양한 계열사도 거느리게 되었는데요. 미국 은행 산업에서 자산 규모로 16위를 차지할만큼 꽤나 큰 은행입니다. 본점은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 위치해 있고요. 지점 수만 해도 30개에 달합니다. 이제 그냥 미국의 듣보잡 은행이 파산한 사건이 아니라는 게 조금 실감이 나시나요?

    출처: 삼성증권

    미국 은행의 자산 순위입니다. JP모건이 1위이고요.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뱅크, 웰스파고, 골드만삭스 등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대규모의 은행이 10위권을 이루고 있고요. 이번에 파산한 SVB도 골드만삭스 자산의 반 정도는 차지할 정도의 규모이고 16위를 기록하고 있는 은행입니다.

    SVB의 특징

    출처: 삼성증권

    우선 SVB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SVB는 이름에서 느낄 수 있듯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벤처 생태계에 특화되어 있는 은행입니다. 주로 창업 초기 실리콘 밸리에 있는 스타트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벤처 대출이라는 상품을 중심으로 성장했는데요. 스타트업 기업들이 시중 은행들로부터 대출을 받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대출을 해주고 신주인수권을 수령하는 방식의 사업 구조를 고안하여 운영해왔습니다.

    출처: 삼성증권

    SVB는 2018년을 기점으로 자산이 급성장했는데요. 2018년 말에 569억 달러였던 총 자산 규모가 2022년에는 2,118억 달러로 짧은 시간에 약 4배 정도의 성장을 이뤘습니다. 이러한 성장의 요인으로는 스타트업 가치의 급등으로 볼 수 있는데요. 당시 IT, 모바일 통신, 디지털 플랫폼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급상승했고, 금리도 제로 수준이었기 때문에 스타트업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활발했습니다. 따라서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생태계의 금융 허브 역할을 했던 SVB도 이러한 자금들이 유입하면서 자산의 성장을 이뤄왔던 것이죠. 이와 더불어 같은 기간 예금도 3.5배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또 특이한 점은 갑작스럽게 파산한 은행답지 않게 자산건전성 또한 2022년 말까지도 안정적인 수준이었다는 것입니다.

    SVB 파산 원인 분석

    2022년에는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시작되었습니다. 보통 금리 상승 시기에는 은행들은 금리 상승의 여파를 대출 금리로 전가시켜서 수익 악화를 막는데요. SVB의 경우 자금을 대부분 10년 이상의 장기채권 매입에 활용했습니다. 2022년 말 기준 SVB 채권 중 10년 이상 만기 비중이 거의 80% 가까이에 달했을 정도입니다. 즉, SVB는 금리 상승을 대출 금리로 전가시킬 수 없었고, 예금도 감소되면서 수익이 크게 훼손되었고요. 또한 채권 수익률도 떨어지면서 악화일로의 길을 걷게 됩니다.

    출처: 삼성증권

    하지만 문제는 또 있었는데요. SVB는 만기 채권을 다량 보유하면서 주식시장이 급하락하는 장에서도 손실이 적어 보였습니다. 그 이유는 만기 채권의 경우 매년 시가평가를 거치지지 않고 이자에 대한 이익만 손익계산서에 반영되기 때문인데요. 즉, SVB는 회계적으로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재무제표에 드러나지 않아서 오히려 잠재 리스크를 키워 온 셈이 되었습니다.

    문제는 2023년에 SVB가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 보유한 채권을 매각하면서 드러나게 되는데요. 3월 8일에 SVB는 보유한 유가증권의 210억 달러를 매각하면서 18억 달러의 손실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22.5억 달러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게 된 것입니다.

    즉, SVB 파산 사태를 정리해보면 SVB는 예금 인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부득이 유가증권을 매각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만기보유채권으로 인해 그동안 가려져 있었던 대규모 손실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면서 투자자들에게는 보유가치의 훼손으로 이어졌고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인 뱅크런이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SVB 파산의 영향 전망

    SVB 파산으로 글로벌 은행 시스템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일각에서는 제 2의 리먼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정부 정책과 은행들의 펀드멘털을 감안할 때 은행 시스템 전체 붕괴 가능성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분석하고 있는데요.

    출처: 삼성증권

    그 이유로는 미국의 대형은행들은 매년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행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고, 벤처 생태계의 중심에 있었던 SVB만의 운용 방식은 대형은행들과는 차별화 된 방법으로 다른 은행들이 SVB와 같은 방식으로 파산할 우려가 적다는 것입니다. 또 예금자들의 불안한 심리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예금자 보험 한도를 초과하는 에금도 원금을 보전하겠다는 정부 정책도 발표가 되었고요. 미 연준은 은행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위해서 BTFP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BTFP는 미국 국채, MBS 등 담보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에 1년간 자금을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출처: 삼성증권


    지금까지 SVB의 파산 사건과 금융시장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SVB 파산이 글로벌 금융위기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극히 제한적이지만 이로 인한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피할 수 없어보입니다. 오히려 SVB 뱅크런 사태로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멈출 것이라는 기대로 인해 주식시장이 상승하기도 했는데요. 앞으로도 이러한 변동성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좋은 소식은 아닙니다. 하지만 금리는 언젠간 제자리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고, 주식시장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것입니다. 따라서 좋은 종목에 장기투자한다면 분명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기에 인내심을 갖고 투자를 해야하겠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 삼성증권 리포트, "은행-SVB 사태에 따른 은행주 접근법"

     

    2023.03.10 - [금융연구소] - 국내 글로벌 헬스케어 ETF, TIGER S&P글로벌헬스케어 ETF 분석 및 전망

     

    국내 글로벌 헬스케어 ETF, TIGER S&P글로벌헬스케어 ETF 분석 및 전망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글로벌 헬스케어 ETF! TIGER S&P글로벌헬스케어 ETF 분석 및 장기 전망 포스팅입니다. TIGER S&P글로벌헬스케어 고령화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

    edudiaj.tistory.com

    2023.03.01 - [금융연구소] - 개인소비지출 PCE 물가지수의 의미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개인소비지출 PCE 물가지수의 의미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PCE 물가지수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CE 물가지수란? PCE는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의 약자로서 법인이 아닌 가계와 민간 비영리단체들이

    edudiaj.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